본문 바로가기
지갑 사정

💸 사회초년생 재무설계 TOP4 – 월급이 사라지지 않게 하려면?

by 지갑 사정 2025. 4. 29.

첫 월급날, 기억나시나요?
저는 진짜 세상을 다 가진 기분이었어요.


"이 돈으로 엄마 선물도 사고, 친구들 밥도 사고, 나도 뭐 하나 사야지!"
그렇게 한 달이 지나고 나니… 통장은 텅, 카드값은 덜컥. 😓

 

그때 깨달았어요.
돈을 버는 것보다, 굴리는 게 더 중요하구나.


그래서 재무설계란 단어를 처음 검색해봤고,
“아, 이걸 진작 알았더라면…” 싶은 정보들을 하나씩 배웠어요.

 

오늘은 저처럼 ‘이제 막 사회에 발 들인’ 여러분을 위해,
사회초년생이 꼭 알아야 할 재무설계 TOP4를 알려드릴게요.


읽고 나면 돈이 새는 이유, 저축이 늘지 않는 이유, 내 월급을 지키는 방법까지 감 잡으실 수 있어요!


✅ 1. 고정지출부터 통제하는 ‘선(先)통제 후(後)소비’ 원칙

많은 사회초년생이 저지르는 실수, 바로 월급 받고 나서 생각하는 소비예요.
그러면 어떻게 되냐면요? 아무것도 안 남아요.

💡 이 원칙 하나만 기억하세요:

월급 받으면 '저축하고 남는 돈을 쓰는 것'이 아니라,
‘쓸 돈을 정하고 남은 돈을 저축’해야 해요. (X)
👉 정답은 '저축 먼저, 소비는 그 다음’입니다.

 

예를 들어, 월급 250만 원이면
👉 고정지출(70만 원) + 저축/투자(80만 원) + 자유소비(100만 원)


이런 식으로 비율 기반 예산을 먼저 짜두는 게 핵심이에요.


🏦 2. 비상금 계좌는 따로, CMA나 자유적금 활용하기

사회초년생일수록 갑자기 생기는 지출에 취약해요.
병원비, 경조사비, 이사비용 등 생각지도 못한 일이 툭툭 터지거든요.

그래서 ‘비상금 계좌’는 꼭 따로 마련해야 해요.


👉 월급의 10~20%는 **출금이 자유로운 상품(CMA, 자유적금)**으로 분리!

💡 Tip: CMA통장은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붙어요.


단기 유동성을 위해선 적금보다 훨씬 유리해요.


📈 3. 월 10만 원이라도, 투자 습관은 지금부터

재무설계에서 빠질 수 없는 게 **‘투자’**예요.
하지만 사회초년생들은 ‘위험할까 봐’ 아예 안 하거나,


‘단타에 눈 돌아가서’ 실패를 맛보곤 해요.

가장 좋은 방법은?


👉 소액부터, 장기적으로, 정기적으로 투자하는 거예요.

예시:

  • ETF에 월 10만 원 정립식 투자
  • 연금저축펀드 or IRP 가입해 세액공제 + 노후준비
  • 적립식 펀드 or 로보어드바이저 활용도 추천

📌 절대 규칙: 단타 NO! 일확천금 NO!
복리의 힘은 시간에서 나와요. 젊은 지금이 가장 큰 무기입니다.


🔐 4. 보험은 ‘최소한의 보장’, 과도한 상품 가입 주의

처음 회사를 다니다 보면 보험설계사 지인도 많아지고,
‘이건 꼭 들어야 해요!’라는 말에 흔들리기 쉬워요.
하지만 사회초년생에게 꼭 필요한 건 딱 2가지예요.

필수 보험 2가지

  • 실손의료보험: 병원비 부담 줄여주는 필수템
  • 상해보험 or 치아보험(선택): 상황에 따라

나머지 보험은 가입 전 무조건 비교하고,


👉 ‘저축성 보험’은 당장은 비효율적일 수 있어요.

💡 보험은 보장 vs 저축을 반드시 구분해서 가입해야 해요!


✨ 결론: 사회초년생일수록, 돈의 ‘방향성’을 먼저 설계하세요

돈을 많이 버는 것도 좋지만,
‘어떻게 쓰고, 얼마나 모으고, 어디에 투자하는가’가 훨씬 중요해요.

 

사회초년생 재무설계는 거창한 게 아니에요.
월급 들어오는 방향부터 질서 있게 정리하는 것이 시작이에요.


작은 습관이 모여 큰 자산이 됩니다.

 

혹시 지금, 통장이 텅장이고
“나 진짜 뭐부터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…” 싶다면,
오늘 이 글에서 마음에 드는 항목 하나만 실천해보세요.


그게 첫 재무설계의 출발선이에요! 😊